뒤틀린 K이론

K이론에서, 뒤틀린 K이론(뒤틀린K理論, 영어: twisted K-theory)은 어떤 3차 특이 코호몰로지류에 의존하는, 위상 K이론의 일반화이다.[1]

정의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무한 차원 분해 가능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H {\displaystyle {\mathcal {H}}} 프레드홀름 작용소의 공간을

Fred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Fred} ({\mathcal {H}})}

라고 하자. 이는 작용소 노름을 통하여 거리 공간을 이루며, 이는 0차 복소수 위상 K군분류 공간이다.

K 0 ( ) = [ , Fred ( H ) ] {\displaystyle \operatorname {K} ^{0}(-)=[-,\operatorname {Fred} ({\mathcal {H}})]}

H {\displaystyle {\mathcal {H}}} 의 사영 유니터리 군

1 C × id H PU ( H ) U ( H ) 1 {\displaystyle 1\to \mathbb {C} ^{\times }\operatorname {id} _{\mathcal {H}}\to \operatorname {PU} ({\mathcal {H}})\to \operatorname {U} ({\mathcal {H}})\to 1}

을 생각하자. 그 호모토피 유형무한 순환군의 2차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 K ( Z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K} (\mathbb {Z} ,2)} 이다.

PU ( H ) K ( Z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PU} ({\mathcal {H}})\simeq \operatorname {K} (\mathbb {Z} ,2)}

따라서, H {\displaystyle H} 에 대응되는 PU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PU} ({\mathcal {H}})} -주다발

PU ( H ) P M {\displaystyle \operatorname {PU} ({\mathcal {H}})\hookrightarrow P\twoheadrightarrow M}

을 고를 수 있다. 그렇다면, PU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PU} ({\mathcal {H}})} P {\displaystyle P} Fred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Fred} ({\mathcal {H}})} 위의 오른쪽 군 작용을 갖는다.

Fred ( H ) × PU ( H ) Fred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Fred} ({\mathcal {H}})\times \operatorname {PU} ({\mathcal {H}})\to \operatorname {Fred} ({\mathcal {H}})}
( A , [ U ] ) U 1 A U U U ( H ) {\displaystyle (A,[U])\mapsto U^{-1}AU\qquad \forall U\in \operatorname {U} ({\mathcal {H}})}

따라서, 등변 함수

P Fred ( H ) {\displaystyle P\to \operatorname {Fred} ({\mathcal {H}})}

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등변 호모토피류를 통한 정의

M {\displaystyle M} 의, H {\displaystyle H} 에 대한 뒤틀린 K군은 등변 연속 함수 공간의 연결 성분의 집합

K ( M , H ) = [ P H , Fred ( H ) ] PU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K} (M,H)=[P_{H},\operatorname {Fred} ({\mathcal {H}})]_{\operatorname {PU} ({\mathcal {H}})}}

이다.

단면 호모토피류를 통한 정의

연관 벡터 다발

P H × PU ( H ) Fred ( H ) {\displaystyle P_{H}\times _{\operatorname {PU} ({\mathcal {H}})}\operatorname {Fred} ({\mathcal {H}})}

를 생각하자. M {\displaystyle M} 의, H {\displaystyle H} 에 대한 뒤틀린 K군은 그 연속 단면의 공간의 연결 성분의 집합이다.

K ( M , H ) = [ M , P H × PU ( H ) ] M {\displaystyle \operatorname {K} (M,H)=[M,P_{H}\times _{\operatorname {PU} ({\mathcal {H}})}]_{M}}

연산

뒤틀린 K군은 아벨 군을 이룬다. 뒤틀린 K군 사이의 다음과 같은 텐서곱이 존재한다.

K 0 ( M ; H ) × K 0 ( M ; H ) K 0 ( M ; H ) × K 0 ( M ; H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K} ^{0}(M;H)\times \operatorname {K} ^{0}(M;H')\to \operatorname {K} ^{0}(M;H)\times \operatorname {K} ^{0}(M;H+H')}

즉, 모든 뒤틀린 K군들의 직합은 가환환을 이룬다.

일반 위상 K이론분류 공간은 무한 차원 분해 가능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H {\displaystyle {\mathcal {H}}} 의 즉, 어떤 위상 공간 M {\displaystyle M} 의 0차 복소수 위상 K군은 호모토피류로 주어진다.

K 0 ( M ) = [ M , Fred ( H ) ] {\displaystyle \operatorname {K} ^{0}(M)=[M,\operatorname {Fred} ({\mathcal {H}})]}

즉,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의 자명한 PU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PU} ({\mathcal {H}})} -주다발

P = M × PU ( H ) {\displaystyle P=M\times \operatorname {PU} ({\mathcal {H}})}

을 정의하였을 때, 함수

P Fred ( H ) {\displaystyle P\to \operatorname {Fred} ({\mathcal {H}})}

가운데 PU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PU} ({\mathcal {H}})} 의 작용에 대한 등변 함수인 것들의 호모토피류들은 0차 복소수 위상 K군과 같다.

K 0 ( M ) = [ P , Fred ( H ) ] PU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K} ^{0}(M)=[P,\operatorname {Fred} ({\mathcal {H}})]_{\operatorname {PU} ({\mathcal {H}})}}

이제, 위 구성을 자명한 PU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PU} ({\mathcal {H}})} -주다발 대신 자명하지 않은 주다발로 일반화할 수 있다. 이 경우, H {\displaystyle {\mathcal {H}}} 의 사영 유니터리 군 PU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PU} ({\mathcal {H}})} 은 따라서, PU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PU} ({\mathcal {H}})} -주다발은 M {\displaystyle M} 의 3차 코호몰로지류 H 3 ( M ; Z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3}(M;\mathbb {Z} )} 로 분류된다.

응용

뒤틀린 K이론은 끈 이론D-막을 분류한다.[2] 이 경우, 사용된 3차 코호몰로지류캘브-라몽 장의 장세기이다.

역사

막스 카루비(프랑스어: Max Karoubi)와 피터 도노번(영어: Peter Donovan)이 1960년대 말에 도입하였다.[3][4]

같이 보기

참고 문헌

  1. Karoubi, Max (2007). “Twisted K-theory old and new” (영어). arXiv:math/0701789. 
  2. Maldacena, Juan; Moore, Gregory; Seiberg, Nathan (2010). “D-brane instantons and K-theory charges” (영어). arXiv:hep-th/0108100. 
  3. Karoubi, Max (1968). “Algèbres de Clifford et K-théorie”. 《Ann. Sci. École Normal Superieur》 (프랑스어): 161–270. 
  4. Donovan, Peter; Karoubi, Max (1970). “Graded Brauer groups and K-theory with local coefficients”. 《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HÉS》 (영어) 38: 5–25. 

외부 링크

  • “Twisted K-theory”. 《nLab》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