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716년~1718년)

제6차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의 일부

페트로바라딘 전투
날짜1716년 1월 - 1718년 7월 21일
장소
결과 오스트리아의 승리
교전국
신성 로마 제국 신성 로마 제국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
지휘관
신성 로마 제국 사부아 공자 외젠 오스만 제국 실라다르 다마트 알리 파샤
오스만 제국 하치 하릴 파샤
  • v
  • t
  • e
헝가리와 발칸 반도

지중해

  • 케팔로니아
  • 제1차 발레아레스 제도
  • 제1차 알제
  • 트렘센
  • 제2차 알제
  • 포르멘테라
  • 코론
  • 제1차 튀니스
  • 메혼
  • 프레베자
  • 카스텔누오보
  • 지로라타
  • 알보란
  • 제3차 알제
  • 니스
  • 마흐디예
  • 고조
  • 트리폴리
  • 폰차
  • 코르시카 침공
  • 베자이아
  • 오랑
  • 제2차 발레아레스 제도
  • 모스타가넴
  • 제르바 섬
  • 오랑-메르스엘케비르
  • 제1차 몰타
  • 레판토
  • 제2차 튀니스
  • 페스
  • 코르보 곶
  • 제2차 몰타
  • 켈리도니아

오스트리아-투르크 전쟁오스트리아오스만 제국 사이의 분쟁을 말한다.

오스만 제국은 1699년 체결된 굴욕적 조약인 카를로비츠 조약(Treaty of Karlowitz)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카를로비츠 조약 12년 후 오스만은 빈 전투(Battle of Vienna, 1683) 패배에 대한 복수를 원했다.

먼저, 오스만 대비자르(Grand Vizier) 발타즈 메흐메트(Baltacı Mehmet)가 이끄는 오스만군은 표트르 대제의 러시아군을 격파했다.(러시아-투르크 전쟁 (1710년-1711년) 또는 프루트 원정) 그 뒤, 투르크-베네치아 전쟁(1714년-1718년)에서 대 비자르 다마트 알리(Damat Ali)가 이끄는 오스만군은 1715년 모레아(Morea;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베네치아로부터 되찾았다.

그에 반응해 오스트리아는 카를로비츠 조약의 보증인으로서 오스만 제국에 위협을 가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의 반응은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전쟁을 선포하게 했다.

1716년, 사부아 공 외젠(Prince Eugene of Savoy, 1663-1736)은 오스만군을 페트로바라딘(Petrovaradin) 전투에서 격파한 뒤, 1716년 10월에는 바나트(Banat; 루마니아 서부) 지방의 주도 티미쇼아라(Timişoara)를 점령했다. 이듬해 오스트리아군이 베오그라드(Beograd)까지 점령하자 오스만 제국은 평화를 원했고,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Treaty of Passarowitz)이 체결되었다. 조약으로 오스트리아는 1699년 얻은 영토를 확실히 인정받았고 베오그라드를 획득했다. 도나우강 남쪽은 오스만 측에 남게 되었다.

전거 통제: 국가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이스라엘
  • 미국
  • 체코